자유주의 신학의 이단성 3 (자유주의 신학의 근원, 자유주의 신학과 기독교 차이, 크리스챤 센츄리, 자유주의에 의한 기독교).… 페이지 정보 작성자 뉴피플신학대학 댓글 0건 조회 4,796회 작성일 22-05-03 19:16 List 본문 [자유주의 신학이 각 교단 신학교와 목사들에게 깊이 영향을 끼쳤습니다. 현대는 바른 신학을 가르치는 신학대학이 절실히 필요한 시대입니다.-이덕재] 자유주의 신학의 이단성 3 김 효성 목사 근원: 현대 자유주의 신학은 성경의 비평적 연구 방식에서 나왔다. 중세 시대의 사람들은 교회의 권위에 맹목적으로 순종했었다. 그러나 중세가 무너지고 개인의 자유와 인간 이성의 권위를 발견한 사람들은 성경에 대해서도 비평적으로 연구하기 시작하였다. 이것이 성경의 문학적, 역사적 비평, 즉 소위 '고등비평'이라 불리는 성경의 잘못된 연구방식이다. 또 경험할 수 없는 하나님에 대한 지식이 이성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말한 철학자 칸트의 사상은 지성 세계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게다가, 과학의 발달이나 촬스 다윈의 진화론 등의 사상은 사람들로 하여금 성경을 더욱 의심과 불신앙의 눈으로 보게 만들었다. 현대 자유주의 신학은 이런 배경에서 시작되고 성장하였다. 자유주의 신학의 기독교와의 차이: 성경적 기독교와 현대 자유주의 신학은 기독교의 본질적 이해에 있어서 서로 다르다. 이것은 1920년대에 미국에서의 소위 ‘근본주의와 현대주의 간의 신학적 논쟁’에서 잘 드러났다. 미국 북장로교회의 보수적 지도자이었던 메이천은 당시의 논쟁을 이렇게 표현했다. “특히 종교의 영역에서 현대는 싸움의 시대이다. 항상 기독교로 알려져 왔던 저 위대한 속죄적 종교가 전혀 다른 형태의 종교 신앙과 싸우고 있는데, 이 종교 신앙은 전통적 기독교 용어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기독교 신앙에 더욱 파괴적일 뿐이다. 현대의 이 비(非)속죄적 종교는 ‘현대주의’ 혹은 ‘자유주의’라고 불린다.” 자유주의 잡지인 크리스챤 센츄리 1924년 1월 3일자 사설은 두 파의 차이를 더욱 인상적이게 이렇게 말했다. “근본주의에 의한 기독교는 하나의 종교요, 현대주의에 의한 기독교는 다른 한 종교이다. 어느 것이 참된 종교인가는 오는 세대들을 위해 우리 세대에 의해 아마 해결될 문제이다. . . . 근본주의자의 하나님은 한 하나님이요, 현대주의자의 하나님은 다른 한 하나님이다. 근본주의자의 그리스도는 한 그리스도요, 현대주의자의 그리스도는 다른 한 그리스도이다. 근본주의의 성경은 한 성경이요, 현대주의의 성경은 다른 한 성경이다. 교회, 하나님의 나라, 만물의 종말--이것들이 근본주의자들에게와 현대주의자들에게 의미하는 바가 각각 다르다. 어느 하나님이 기독교의 하나님인가, 어느 그리스도가 기독교의 그리스도인가, 어느 성경이 기독교의 성경인가, 어느 교회, 어느 하나님의 나라, 어느 구원, 어느 종말이 기독교의 교회, 기독교의 하나님의 나라, 기독교의 구원, 기독교의 종말인가? 미래가 말해 줄 것이다.” 자유주의에 의한 기독교: 자유주의 신학에 의하면, 기독교는 교리와 별개의 한 경험 혹은 생활이며, 교리는 기독교적 경험 혹은 생활을 한 시대의 사고 방식으로 표현한 하나의 상징에 불과하며 따라서 교리는 시대마다 변할 수 있고 또 변해야 한다고 한다. 교리를 경시하는 이러한 태도는 자유주의 신학의 초기로부터 볼 수 있는 태도이었다. 19세기 초, 자유주의 신학의 아버지로 불리는 쉴라이엘마허는 말하기를, 종교는 감정이나 직관에 근거하며, 종교의 핵심은 이성적 증명과 토론이 아니고 감정이며 항상 그러하였고, 종교인에게 하나님은 하나의 경험, 하나의 살아있는 존재라고 했다. 19세기 중엽, 릿츨도 좀 다른 각도에서이긴 하지만 말하기를, 종교는 이론적이어서는 안되며, 하나님은 사람의 가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필요한 원리이며, 구원받는다는 것은 새 삶을 산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했다. 이전글자유주의 신학의 이단성 4 (성경에 의한 기독교). 김 효성 22.05.03 다음글자유주의 신학의 이단성 2 (자유주의 신학 비평의 필요성). 김 효성 22.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