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주의 신학이란 무엇인가? (자유주의 신학의 문제점). 3 최 덕성 페이지 정보 작성자 뉴피플신학대학 댓글 0건 조회 4,573회 작성일 22-05-17 05:29 List 본문 한국교회가 바르트주의를 자유주의 기독교의 범주에 포함시키는 관례는 1930년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파괴적 성경관과 성경비평학을 수용하는 현대주의자들, 아빙돈주석 사건, 교회 안에서 여성의 지위, 바르트주의 성경관에 대한 논쟁 등과 관련되어 있다. 박형룡은 1930년대 중반에 장로회신학교(평양)에서 ‘기독교신학난제’를 가르치면서 기독교계에 급속하게 확산되고 있는 새로운 신학 사조들을 비판했다. 그 무렵, 김재준·송창근·채필근·김영주·김춘배·김관식·조희염 목사 등은 자유주의 신학자로 주목받고 있었다.한국교회사가들은 바르트주의를 자유주의 기독교 범주에 포함시켜왔다. 김양선은 『한국기독교해방십년사』(1956)에서 광복 후의 한국교회의 분열을 자유와 보수의 대결로 파악한다.7 조선신학교의 김재준, 프린스톤신학교의 존 매카이와 에밀 부룬너를 자유주의 신학자로 단정한다. 총신대학교에서 가르친 바 있는 웨스트민스터신학교의 간하배(Harvie M. Conn) 교수는 미국의 자유주의 기독교의 연장선상에서 김재준을 자유주의 신학자로 규정한다.8 총신대학교의 박용규 교수는 『한국장로교사상사』(1992)9에서 간하배의 논지를 확대 서술하면서 김재준과 송창근을 자유주의 신학자로 분류한다. 조선신학교 학생 51명이 김재준의 성경관과 신학에 대해 총회에 제출한 진정서의 내용을 인용하면서 김재준의 자유주의 신학사상을 소개한다. 장로교 남부총회(1946)가 조선신학교를 교역자 양성기관으로 공식 인준할 무렵, 그 학교 안에는 교회에서 정통신학을 배우고 자란 신학생들이 있었다. 그들은 자유주의 신학을 배우다가 충격을 받고서 ‘진정서’(1947)를 총회에 제출했다. 조선신학교가 자유주의 신학과 성경에 대한 고등비평과 자유주의 성경관, 교리, 신관을 가르친다는 것이었다. 이 진정서는 김재준·송창근·정대위 교수의 신학을 다루지만, 주로 김재준의 사상을 비판하고 있다. 김재준은 구약성경을 유태교의 성경이라고 하며, 문서설을 주장하여, 모세 6경설, 제2이사야서설을 가르친다. 성경은 주변국의 종교와 문화의 영향을 받아 기록되었다. 성경에는 오류가 많다. 노아홍수설, 바벨탑 기사, 인류의 기원 등은 모두 허구이다. 여리고성의 함락은 실제로 있었던 것이 아니라 단지 정신적 승리였다. 정통신학은 신신학보다 더 교묘하게 위장한 실제적 인본주의이며 정통적 이단이다. 성경은 교리의 교과서가 아니다. 하나님은 교리를 가르치지 않았다. 칼빈의 예정론은 운명론과 다를 바 없다. 유일신 엘로힘은 셈족의 신이라고 가르친다는 것 등이다.10김재준은 자신의 성경관이 이단시비에 걸려들자 바르트주의 성경관을 자신의 것으로 천명했다. “성경에 다소 오류가 있으나 그 속에 구속하는 이치가 있다”11는 점에서 성경은 무오(無誤)하다고 설명했다. 성경의 역사와 과학 관련 본문에는 오류가 있으나 구원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점에서는 성경은 무오(infallable, not inerrant)하다고 말했다. 그러나 김재준은 철저한 자유주의자도 아니고, 철저한 바르트주의자도 아니다. 정통주의자는 더욱 아니다. 포괄성과 수용성의 면모가 엿보이기는 하지만, 그의 신학은 모두를 부정하는 부정신학(Nein-Theologie), 모두를 수용하는 포괄신학(Umgreifen Theologie), 마치 이것인 듯하기도 하고 저것인 듯하기도 한(Als-Ob) 신학이다. 어느 한 카테고리에 속하지 않는, 높고 먼 공중을 떠도는 신학―장공신학(長空神學)이다.12이러한 역사와 전통을 가진 한국의 자유주의 기독교는 근년에 이르러 종교다원주의 형태로 나타났다. 감리교신학대학교의 윤성범, 변선환, 홍정수, 한신대학교의 김경재 교수 등이 이러한 물결을 주도해 왔다. 한국의 보수계 교회들은 김재준을 동력(動力)으로 출범한 기독교장로회와 감리교신학대학교를 중심으로 하는 대한기독교감리회를 자유주의 신학을 지향하는 교단이라고 생각한다. 이전글자유주의 신학이란 무엇인가? (자유주의 신학의 문제점). 4 최 덕성 22.05.17 다음글자유주의 신학이란 무엇인가? (자유주의 신학의 문제점). 2 최 덕성 22.0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