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주의 신학이란 무엇인가? (자유주의 신학의 문제점). 9 최 덕성 > Academic Materials 학술게시판

본문 바로가기

Academic Materials 학술게시판

자유주의 신학이란 무엇인가? (자유주의 신학의 문제점). 9 최 덕성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뉴피플신학대학
댓글 0건 조회 4,203회 작성일 22-05-17 05:42

본문

 

한편, 국제개혁교회협의회(ICRC)는 성경적 신앙고백과 개혁신학의 정체성과 교리를 중요하게 여기는 개혁주의 에큐메니칼 단체이다. 웨스트민스터신앙고백서, 하이델베르크신앙문답을 소중히 여긴다. 한국의 고신교단이 가입해 있다. 회원교회와 단체의 폭을 넓히려고 하고 있다.개혁주의 진영 안에는 이처럼 두 개의 상반된 기독교가 존재한다. 개혁주의는 일반적으로 스위스종교개혁과 관련된 프로테스탄트 전통을 일컫지만, 그 안에는 서로 대립 관계에 있는 두 개의 신학 캠프가 있다. 극단의 자유주의 기독교와 극단의 보수주의 기독교가 그 안에 다 포함되어 있다. 조선신학교(현 한신대학교)의 김재준 교수, 총회신학교(현 총신대학교)의 박형룡 박사, 장로회신학대학교의 이종성 박사, 고려신학대학원의 이근삼 박사는 모두 개혁주의 신학자이다. 그러므로 개혁주의는 그 단어가 사용되고 있는 콘텍스트 안에서 이해해야 한다. 개혁주의 서클에 속해 있다는 것을 이유로 자신이 자유주의자가 아니라고 하거나, 자유주의와 개혁주의가 상반되거나 대립 관계에 있는 것으로 보는 것은 모순이다.

 

 

5. 근본주의 바로 알기

 

종교개혁자들은 교회의 외적 일치보다 진리를 더 중요하게 여기는 교회개혁운동을 폈다. 그들은 관용주의자, 포용주의자, 화평주의자, 신앙무차별주의자가 아니었다. 진리에서 떠난 교회와 더불어 화평하거나 일치하는 것을 거부했다. 로마가톨릭교회로부터 이단자,’ ‘분리주의자,’ ‘주의 포도원을 허무는 여우라고 하는 비난을 받으면서도 진리 안에서 일치의 깃발을 들었다. 성경이 제시하는 기독교의 핵심 교리를 고백하는 범위 안에서 일치운동을 전개했다.자유주의 기독교는 다원주의 에큐메니칼 운동을 고무시켰다. 이러한 흐름은 교회가 자유주의 신학 강령에 따라 개혁되는 것을 돕는 반면에 성경에 따라 개혁하는 것을 방해한다. 성경보다는 문화에 더 높은 권위를 부여하고 그것에 따라 기독교를 변혁시키려고 한다. 무엇을 고백하는가 하는 것은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고 본다. 성경이 제시하는 교리를 믿느냐 믿지 않느냐 하는 것은 궁극적으로 사소한 문제라고 본다. 정통신앙과 교리를 중요하게 여기는 사람들, 양심적으로 새로운 기독교를 반대하는 사람을 근본주의자, 배타주의자, 성경문자주의자로, 과거의 틀에 사로잡혀 성경의 메시지를 읽어내지 못하는 자로 매도하고 폄하한다.

 

근본주의는 자유주의 기독교를 배격하면서 20세기 초 미국에서 등장했다. 근본주의는 역사적 기독교를 변호한 사람들이 초교파적으로 펼친 광범위한 신학운동이다. 성경의 영감, 그리스도의 동정녀 탄생, 속죄사역, 육체부활, 초자연적 기적능력을 역사적 기독교의 표지로 삼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현대주의-근본주의 논쟁은 기독교의 근본 도리들을 한낱 이론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보는 오번선언서(Auburn Affirmation, 1924)를 둘러싸고 진행되었다. 디모디 웨버(Timothy P. Weber)가 지적한 대로, 미국의 근본주의 운동은 예전에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더 복잡한 현상이다. 그것은 도시와 시골, 사변성과 단순성, 지성과 반지성, 온건성과 극단성을 아울러 지니고 있었다. 간단히 말해서 근본주의는 그것이 지금까지 알려진 부정적인 대중 이미지보다 지역적, 사회적, 정치적, 교육적, 신학적으로 훨씬 더 다양성을 지니고 있다.”24 조지 마스덴(George Marsden)은 그것이 복음주의, 부흥운동주의, 경건주의, 홀리네스운동, 개혁파의 고백주의, 침례교 전통주의 그리고 기타 교단적 정통주의 등을 포함한다”25고 옳게 지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