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주의 신학이란 무엇인가? (자유주의 신학의 문제점). 7 최 덕성 페이지 정보 작성자 뉴피플신학대학 댓글 0건 조회 4,186회 작성일 22-05-17 05:37 List 본문 4. ‘개혁주의’ 스펙트럼 역사적 기독교의 대명사인 ‘개혁주의’(Reformed)는 종교개혁 사건 뒤에 스위스를 중심하여 일어난 개혁파 교회, 장로교회, 회중교회의 전통을 일컫는다. 비로마가톨릭교회와 비루터파 프로테스탄트교회 전체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기도 한다. ‘자유주의 신학의 아버지’ 프레드리히 슐라이에르마허도 개혁주의자(개혁파 신학자)라고 불리며, 20세기 신학자로 일컬어지는 칼 바르트도 개혁주의 신학자로 불린다. 자유주의 신학과 신신학(바르트주의)의 위험을 경고한 웨스트민스터신학교의 그레스앰 메이첸과 코넬리우스 반틸과 국제기독교연합회(ICCC) 총재 칼 매킨타이어도 충실한 개혁주의자이다. 세계개혁교회연맹(WARC)이라는 이름을 가진 에큐메니칼 단체는 진보계 개혁교회들의 연합체이다. 국제개혁교회협의회(ICRC)는 보수계 개혁주의 교회들의 연합단체이다.‘개혁주의’로 흔히 번역되는 ‘Reformed’(독일어 Reformiert)는 대략 10 가지의 우리말로 옮길 수 있다. (1) 형용사 기능을 가진 분사로 사용되는 경우는 ‘개혁된’을 뜻한다. 개악(改惡)된 것이 아니라 고쳐져 새롭게 되었다는 의미가 있다. (2) 종교개혁을 거쳐 신약시대의 교회를 회복한 종교, 곧 프로테스탄트교회를 뜻한다. 해방 전후 우리나라 문헌들은 ‘개혁교’(改革敎), ‘개혁종’(改革宗), ‘갱정교’(更正敎)와 같은 표기를 사용하고 있다. (3) 프로테스탄트교회 가운데 루터파, 재세례파, 영국국교회와 구분되는 ‘개혁파’ 교회를 뜻한다. 개혁파는 쮜리히의 쯔빙글리와 제네바의 칼빈, 스트라스버그의 부서와 관련된 교파이다. (4) 스위스종교개혁에서 시작된 개혁파 교회의 전통을 따르는 교단을 지칭한다. 네덜랜드개혁교회, 헝가리개혁교회, 미국개혁교회 등으로 사용된다. (5) 우리나라에서 가장 흔하게 사용되고 있는 것은 ‘개혁주의’이다. ‘개혁파’ 또는 ‘개혁교단’이 믿고 신앙하는 것을 일컫는다. ‘개혁주의’는 이데올로기 뉘앙스를 풍긴다. 개혁신앙은 이데올로기적인 ‘주의’(-ism)가 아니다. 그 밖에도 문맥에 따라 (6) ‘개혁주의자’를 뜻하기도 하고, (7) ‘개혁파 전통’을 뜻하기도 하고, (8) ‘개혁주의 신학’을 뜻하기도 한다. (9) ‘개혁주의적인 어떤 것, 개혁파적인 어떤 것’을 지칭한다. (10) ‘개혁’으로 번역되어 ‘개혁신앙,’ ‘개혁신학,’ ‘개혁교회’ 등으로 사용되기도 한다.기독교 역사에서 ‘Reformed’란 용어는 종교개혁 역사 초기에 교황주의에 반대하는 프로테스탄트들을 일컬을 때부터 사용되었다. 개혁된 교회가 본래의 신성한 질서와 생활을 회복했다는 뜻으로 ‘개혁된 교회,’ ‘교정된 교회,’ ‘정화된 교회’로 일컬어졌다. 그 뒤에, ‘Reformiert’는 루터파와 쯔빙글리파를 지칭하는 포괄적인 용어로 사용되었다. 교황주의자들에 맞서는 사람들을 일컫는 용어였다. 루터파 신앙고백서인 “협정신조”의 도입 부분은 “우리 개혁교회는 교황주의자들과 다르게, 타락하고 저주받는 종파와 이교도로부터 분리되었다”16고 진술했다. 이 루터파 신조는 자신들의 교회를 ‘개혁된 교회,’ 곧 ‘개혁교회’라고 불렀다. 이 단어는 16세기 말과 17세기 초까지는 이와 같은 용례로 사용되었다. 독일 기독교인들은 ‘Reformed’란 용어를 복음주의(Evangelical: Lutherans)의 동의어로 사용한다. 초기 루터파 신학자들은 자신들이 ‘루터파’로 불리는 것을 싫어했다. 자신들의 교회는 새로 만들어진 종교가 아니라 ‘개혁된 교회’라고 생각했다.‘개혁파’라는 이름이 종교개혁 전통을 따르는 비루터파 구성원만을 일컫는 용어가 된 것은 성만찬 논쟁 때부터였다. 이 논쟁은 프로테스탄트들을 루터파, 칼빈파, 쯔빙글리파, 개혁파로 구분했다. 칼빈파 인물이라고 비난을 받던 팔라틴 왕국의 프레드릭 3세는 1563년에 보낸 어느 편지에서 “루터파는 그리스도의 성찬 교리에 관한 주님의 말씀의 본문에서 이탈한 자들”이라고 말했다. 협정신조는 칼빈파를 “모든 성찬주의자들 가운데 가장 유해한 자들”17로 묘사한다. 이전글자유주의 신학이란 무엇인가? (자유주의 신학의 문제점). 8 최 덕성 22.05.17 다음글자유주의 신학이란 무엇인가? (자유주의 신학의 문제점). 6 최 덕성 22.05.17